✅ 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고용정책
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연장 및 요건 완화
📌 핵심 내용
2025년 하반기에도 청년 정규직 채용 기업에 최대 960만 원 지원하는 정책이 유지됩니다.
7월부터는 최소 고용 유지 기간이 6개월 → 3개월로 단축되어
더 많은 기업이 유연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조정되었습니다.
👥 기대 효과
- 청년에게 정규직 취업 기회 제공
- 기업 인건비 부담 완화
- 고용시장 유연성 강화
🔗 신청 및 정보
2️⃣ 국민취업지원제도 Ⅱ유형 기준 완화
📌 핵심 내용
2025년 7월부터 국민취업지원제도 ‘Ⅱ유형’ 대상자의 재산 기준이 완화됩니다.
- 기존: 재산 3억 원 이하 → 4억 원 이하로 상향
- 지원내용: 취업상담, 직업훈련, 구직활동지원비 등
👥 기대 효과
재산이 다소 있는 중장년층, 퇴직자 등도 취업지원을 받을 수 있어
취약계층 중심에서 보편적 고용지원제도로 확대되는 기반이 됩니다.
🔗 신청 및 정보
👉 국민취업지원제도
3️⃣ 중장년 고용장려금 신설 (시범사업)
📌 핵심 내용
7월부터 만 50세 이상 구직자를 정규직으로 고용한 중소기업에게
최대 800만 원의 장려금을 지원하는 시범사업이 시행됩니다.
- 월 80만 원 × 최대 10개월
- 기업당 연 5인까지 지원 가능
👥 기대 효과
고령층 취업률 향상과 중소기업 구인난 완화.
50대 이상 퇴직자 재취업 기회 확대.
🔗 신청 및 정보
👉 고용노동부 중장년 지원사업
4️⃣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연계 프로그램 확대
📌 핵심 내용
2025년 7월부터 경력단절 여성 대상 맞춤형 취업 프로그램 및 인턴제가 확대됩니다.
- 직무 교육 후 기업 연계 인턴 → 정규직 전환 가능
- 최대 월 90만 원의 인턴수당 제공
- 참여기업에 고용장려금 별도 지원
👥 기대 효과
결혼·육아로 인한 공백을 해소하고 여성의 고용 복귀를 지원
특히 보건, 행정, 교육 분야 중심으로 기회 확대
🔗 신청 및 정보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5️⃣ 플랫폼 종사자 고용보험 확대
📌 핵심 내용
7월부터 배달기사, 대리운전, 프리랜서 등 플랫폼 노동자도
자발적 가입 시 고용보험 가입 가능 대상이 확대됩니다.
또한, 고용보험료 일부를 정부가 최대 80%까지 지원하는 제도도 병행 시행.
👥 기대 효과
고용안전망 사각지대 해소, 일시적 실직에도 실업급여 수급 가능
🔗 신청 및 정보
👉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6️⃣ 디지털 전환 직무 훈련 강화 (디지털배움터 2.0)
📌 핵심 내용
7월부터 고용노동부와 과기정통부가 협업하여
디지털·AI 기초 직무 훈련 과정을 확대 시행합니다.
- 전국 300개소 이상 훈련기관 운영
- 자격 무관, 누구나 무료 수강 가능
- 수료 후 민간 인증 및 취업 연계
👥 기대 효과
기술 격차 해소, 전 직종 종사자 대상 디지털 전환 능력 확보
🔗 신청 및 정보
👉 디지털배움터
7️⃣ 장애인 고용장려금 단가 인상
📌 핵심 내용
장애인을 고용한 사업장에 대한 고용장려금이
7월부터 1인당 월 65만 원 → 75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또한, 직무 적응 훈련에 참여한 기업에 별도 인센티브 제공
👥 기대 효과
장애인 고용 확대 유도 및 사업장의 고용 유지 지원
🔗 신청 및 정보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마무리 요약 테이블
정책명 핵심내용 신청 링크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청년 정규직 채용 기업에 960만 원 | 바로가기 |
국민취업지원제도 | Ⅱ유형 재산 기준 4억 원으로 완화 | 바로가기 |
중장년 고용장려금 | 50세 이상 정규직 고용 시 800만 원 | 바로가기 |
경단녀 인턴제 | 인턴 수당 + 기업 장려금 지원 | 바로가기 |
플랫폼 고용보험 | 자발적 가입 + 보험료 지원 | 바로가기 |
디지털배움터 2.0 | AI·디지털 직무 무료 훈련 | 바로가기 |
장애인 고용장려금 | 월 75만 원으로 단가 인상 | 바로가기 |
더 구체적인 정책으로 콘텐츠가 필요하시거나
연관 키워드 분석도 원하시면 말씀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