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재산세 납부기간과 부과기준 완벽 정리 (2025년 기준)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과 부과기준을 정확히 알려드립니다. 부동산 보유 시기, 과세 기준일, 지역별 차이까지 꼭 확인하세요! 빠르게 재산세 정보를 확인하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
재산세란?
재산세는 부동산 등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과세 대상은 주택, 건물, 토지, 선박, 항공기 등이며, 해당 자산의 소유 여부를 기준으로 매년 일정 기간에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 재산세는 **지방자치단체(시·군·구청)**에서 부과하고, 지방재정의 중요한 세입원이 됩니다.
주택 한 채를 가지고 있어도 일정 금액 이상이라면 재산세를 납부해야 하므로, 납부 시기와 부과기준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재산세 과세 기준일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0시 현재 재산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이 날짜를 "과세 기준일"이라고 하며, 그날 기준으로 누가 소유하고 있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 예시
- A씨가 5월 31일에 부동산을 매도하고 6월 1일 이전 등기 이전 완료 → 재산세 납부 X
- B씨가 6월 1일에 등기 완료 → B씨가 해당 재산의 재산세 납세자
- C씨가 6월 2일 등기 완료 → C씨가 소유하더라도 해당 연도 재산세는 매도자 부담
💡 즉, 등기일이 6월 1일을 기준으로 누구 이름으로 되어 있느냐가 핵심입니다.
2. 재산세 납부기간 (2025년 기준)
재산세는 자산 종류에 따라 납부 시기가 달라집니다.
주택과 일반건물, 토지는 7월과 9월로 분산 부과, 선박·항공기는 7월에 일괄 부과됩니다.
주택 (세액 20만 원 초과) | 7월, 9월 (각 1/2씩) | 2회 분납 |
주택 (20만 원 이하) | 7월 | 1회 납부 |
건물 (상가, 사무실 등) | 7월 | 1회 납부 |
토지 | 9월 | 1회 납부 |
선박·항공기 | 7월 | 1회 납부 |
✅ 2025년 재산세 납기일 예시
- 7월 재산세: 7월 16일 ~ 7월 31일
- 9월 재산세: 9월 16일 ~ 9월 30일
(각 지자체에 따라 1~2일 차이 있을 수 있음)
3. 주택 재산세는 왜 두 번 내나요?
주택의 재산세 세액이 20만 원을 초과할 경우, 법적으로 7월과 9월 두 번 나눠서 납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이유는?
국민의 납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한 번에 큰 금액을 내는 대신 두 번에 나눠서 나눠내는 제도입니다.
✅ 예시
- A씨의 재산세: 38만 원
→ 7월에 19만 원, 9월에 19만 원 분납 - B씨의 재산세: 16만 원
→ 7월에 한 번에 전액 납부
4. 재산세 부과 기준
재산세는 다음 기준에 따라 부과됩니다.
① 과세표준 (공시가격 기준)
-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이 산정됩니다.
- 주택의 경우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해 과세표준을 정합니다.
② 공정시장가액비율
- 2025년 기준: 60%
- 예: 공시가격 1억 원 × 60% = 과세표준 6,000만 원
③ 세율 (누진세 적용)
- 주택 세율은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다릅니다.
6,000만 원 이하 | 0.10% |
1억 5천만 원 이하 | 0.15% |
3억 원 이하 | 0.25% |
3억 원 초과 | 0.40% |
(※ 단독주택 기준. 공동주택은 일부 다름)
④ 세액 공제 및 감면
- 고령자, 장기보유자, 1세대 1주택자 등은 세액 공제 또는 감면 대상이 될 수 있음
-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시 감면 혜택 제공 (조건에 따라 상이)
5. 재산세 납부 방법
재산세는 고지서로 우편 발송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납부 방법
- 전국 모든 은행 ATM
- ARS 전화 납부 (지자체별 번호 상이)
- 위택스(www.wetax.go.kr)
- 지방세입계좌이체
- 인터넷지로(www.giro.or.kr)
💡 간편한 납부를 원한다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 앱 납부도 가능합니다.
6. 납부기한 놓치면?
재산세는 법정기한 내 납부가 원칙입니다.
기한을 지나면 3%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장기 체납 시 재산 압류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납부 지연 시 불이익
- 가산금: 세액 × 3%
- 1개월 초과 시: 매월 1.2%씩 가산금 추가
- 체납 6개월 이상: 부동산 압류, 공매 가능
💡 반드시 납기일 내 납부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7. 공동명의 시 누가 내야 하나요?
공동명의 부동산의 경우, 재산세는 지분 비율대로 각자에게 부과됩니다.
- A씨 60%, B씨 40% 지분 → 각각 60:40 비율로 고지서 발송
- 단, 납세 의무는 공동으로 있으므로, 한 사람이 일괄 납부도 가능
8. 이중과세? 종합부동산세와의 차이점
✅ 재산세 vs 종합부동산세
부과 주체 | 지방자치단체 | 국세청 (국세) |
대상 | 모든 부동산 | 일정 기준 초과 부동산 |
부과 기준 | 과세표준 및 공시가격 | 공시가격 총액 기준 |
납부 시기 | 7월, 9월 | 12월 |
세율 | 낮음 (누진) | 높음 (초고가 주택 중심) |
결론: 재산세는 꼼꼼하게 확인하고 납부하세요
재산세는 단순한 ‘세금’이 아니라, 부동산 보유 사실에 대한 책임과 권리의 증명입니다.
과세 기준일, 납부기간, 금액 산정방식까지 꼼꼼히 알아두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이나 가산금 부과를 막을 수 있습니다.
2025년에도 정확한 납기일을 기억하시고, 온라인 납부 시스템을 활용해 편리하게 재산세를 처리해보세요!